본문 바로가기

육아상식

[육아 상식] 손가락 빠는 아이, 손톱 깨무는 아이 대처방법

[육아 상식] 손가락 빠는 아이, 손톱 깨무는 아이 대처방법

아이의 손가락은 부모를 상징하는 부모의 대치물이라고 합니다.
아이가 손가락을 빨거나, 손톱을 깨무는 행동을 할 때 무조건 나무라고
하지말고 아이가 적절하게 행동할 수 있도록 교육을 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손가락 빨기, 손톱 물기 왜 이런 행동이 나타날까?

손가락 빨기는 일종의 어린 시절로 퇴행된 행동으로 외롭다던지, 심심하다던지,
혹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불안을 느낄 때 손톱을 물거나 자기 신체를 자극하는
방법을 통해 아이가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끼는 행위라고 합니다. 흔히 아이들이
인형, 담요를 항상 갖고 다니거나 혹은 잠잘때 부모의 신체 일부를 만지며
자는 데 이는 부모의 상징적 대치물로 여기고 물건을 통해 안정감을 찾는 것이라고
합니다. 단 손톱을 깨무는 아이와 손가락을 빠는 아이간의 차이는 손톱을 깨무는
아이가 좀 더 내부에 쌓인 분노와 억눌린 공격성이 많다는 것입니다.

① 부모와의 충분한 애정 경험과 부모에 대한 안정감이 부족한 아이
② 주변 사람들이 아이에 대한 관심이 없이 방치되어 혼자 지내는 아이
③ 성격적으로 소심하고 겁이 많고 자신감이 없는 아이
④ 부모로부터 지나친 통제, 구속을 받아 스트레스가 많아 내적 분노가 많은 아이


손가락 빨기, 손톱 물기 해결방법

손가락 빨기와 손톱 물기는 건강상에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따라서 나쁜 버릇
정도로 여겨 행위 자체를 없애려고 굳이 노력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아이의 전반적인 심리상태를 파악하여 적절히 대처해주세요

① 엄마를 상징하는 자신의 손가락 대신 적절한 상징적 대치물인 장난감,
촉감이 좋은 곰인형 혹은 애완용 강아지를 아이에게 선물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② 갑자기 안하던 손가락을 빠는 행동을 아이가 보일 경우 어린이집, 학교에서
적응에 심리적 부담을 갖는 것은 아닌지? 혹은 동생 출산 후 부모의 사랑을
빼앗길까봐 위협을 느껴 불안한 것은 아닌지? 등 아이들의 고민과 걱정을
들어보고 격려와 칭찬, 사랑의 말로 아이의 자신감을 심어주어야 됩니다.
③ 손톱을 물어뜯는 분노에 찬 억압된 아이의 경우, 마음 속에 쌓인 분노 감정을
적절히 발산할 수 있도록 허용된 창구나 스트레스를 풀수 있는 방법을
마련한다면 손톱을 물어뜯는 행동은 자연스럽게 사라진다고 합니다.


호진군이 아펐을 때 쌓였던 것이 많았는 지 손톱을 물었습니다.
그래서 호진군과 놀아주려고 장난감과 책들을 큰 맘먹고
아내가 주문을 했습니다. ^^; 맘컷 놀아줘야 겠습니다.